출원번호 | 10-2021-0030919 |
출원일자 | 2021년03월09일 |
특허권자 |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주식회사 이뮤니스바이오 |
등록번호(일자) | 10-2303948 (2021년09월14일) |
발명의 명칭 |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
기능성 화장품 국내 연 평균 23.8%씩 성장하여 2023년에는 22조 9429억원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 시장 중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산업이 가장 큰 폭으로 성장세를 형성하고 있다.
코스메슈티컬 산업은 의료 관광을 통해 신력을 인증 받은 피부과 기반 화장품 업체의 신뢰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되고 진보된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관련 기술의 확보가 중요하며, 새로운 물질 중에서 효능이 우수하더라도 안전성, 용해성 등이 부합하지 않으면 제제화 및 상품화가 어렵기 때문에 유효성분의 안정성,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형화 기술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뮤니스바이오와 스마트셀랩의 본 특허는 우수한 피부 재생 효과를 제공하는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뮤니스바이오와 스마트셀랩은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 또는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때보다 피부 재생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특허의 실시예에서 중간엽 줄기세포(MSC) 및 면역세포(immne cell) 공동배양액의 사이토카인 분석을 분석한 결과,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 또는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인 경우보다 면역세포와 줄기세포를 공동배양한 공동배양액에서 보다 다양한 사이토카인이 분비된 것을 확인하였다(그림1).

[그림1] 각 배양액(CM)의 사이토카인 분석(cytokine array) 결과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의 성장 인자 분석를 분석한 결과, 면역세포 단독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인 경우보다 면역세포와 줄기세포를 공동배양한 공동배양액에서 보다 많은 양의 성장인자가 분비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의 성장인자 발현도,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의 성장인자 발현도 및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의 성장인자 발현도를 측정하였을 때,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과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의 발현도 평균값 대비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의 발현도가 HGF의 경우 124% 증가, IGFPB-4의 경우 221% 증가, IGFPB-6의 경우 210% 증가, M-SCF의 경우 144% 증가 및 MCSF R의 경우 134%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림2).

[그림2] 각 배양액의 성장인자 분석(growth factor array) 결과
사람유래 피부섬유아세포와 피부각질세포에서 피부재생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공동배양액의 처리를 통해 피부 섬유아세포가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 및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 대비 약 10% 이상 향상된 피부 섬유아세포의 회복되었다. 또한 공동배양액 처리를 통해 피부 섬유아세포의 약 30% 이상 향상된 회복 속도를 나타냈다(그림3).

[그림3] 각 배양액의 피부 섬유아세포 회복 효과
또한, 본 발명의 공동배양액의 처리를 통해 피부 각질세포가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 및 면역세포단독 배양액 대비 약 10% 이상 향상된 피부 각질세포의 회복되었다. 공동배양액처리를 통해 피부 각질세포의 약 40% 이상 향상된 회복 속도를 나타낸다(그림4).

[그림4] 각 배양액의 피부 각질세포 회복 효과
결과적으로, 섬유아세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상처치유가 진행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공동배양액을 고농도로 함유할수록 높은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겉면인 각질세포에서 피부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뮤니스바이오와 계열회사 스마트셀랩의 공동 개발한 본 특허에 따른 복합 세포배양액은 면역세포 및 줄기세포 배양액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한 새로운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면역세포 배양액의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들이 항노화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며, 면역반응을 조절하여 염증, 항노화 및 미백 효과가 뛰어나며,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여 피부세포성장 및 재생 촉진 효과가 뛰어나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원료이다. 이뮤니스바이오는 이에 대한 13가지 안정성 테스트를 마쳤으며, 주름개선, 항노화, 미백은 물론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가져 더마코스메틱스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허법인 ECM
변리사 최자영
jychoi@ecmpatent.com
02-568-2675
참조
이뮤니스바이오, 복합 세포배양액 화장품원료 출시, The Yakup, 2021년 6월 16일
출원번호
10-2021-0030919
출원일자
2021년03월09일
특허권자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주식회사 이뮤니스바이오
등록번호(일자)
10-2303948 (2021년09월14일)
발명의 명칭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기능성 화장품 국내 연 평균 23.8%씩 성장하여 2023년에는 22조 9429억원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 시장 중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산업이 가장 큰 폭으로 성장세를 형성하고 있다.
코스메슈티컬 산업은 의료 관광을 통해 신력을 인증 받은 피부과 기반 화장품 업체의 신뢰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되고 진보된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관련 기술의 확보가 중요하며, 새로운 물질 중에서 효능이 우수하더라도 안전성, 용해성 등이 부합하지 않으면 제제화 및 상품화가 어렵기 때문에 유효성분의 안정성,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형화 기술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뮤니스바이오와 스마트셀랩의 본 특허는 우수한 피부 재생 효과를 제공하는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뮤니스바이오와 스마트셀랩은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 또는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때보다 피부 재생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특허의 실시예에서 중간엽 줄기세포(MSC) 및 면역세포(immne cell) 공동배양액의 사이토카인 분석을 분석한 결과,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 또는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인 경우보다 면역세포와 줄기세포를 공동배양한 공동배양액에서 보다 다양한 사이토카인이 분비된 것을 확인하였다(그림1).
[그림1] 각 배양액(CM)의 사이토카인 분석(cytokine array) 결과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의 성장 인자 분석를 분석한 결과, 면역세포 단독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인 경우보다 면역세포와 줄기세포를 공동배양한 공동배양액에서 보다 많은 양의 성장인자가 분비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의 성장인자 발현도,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의 성장인자 발현도 및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의 성장인자 발현도를 측정하였을 때,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과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의 발현도 평균값 대비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의 발현도가 HGF의 경우 124% 증가, IGFPB-4의 경우 221% 증가, IGFPB-6의 경우 210% 증가, M-SCF의 경우 144% 증가 및 MCSF R의 경우 134%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림2).

[그림2] 각 배양액의 성장인자 분석(growth factor array) 결과
사람유래 피부섬유아세포와 피부각질세포에서 피부재생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공동배양액의 처리를 통해 피부 섬유아세포가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 및 면역세포 단독 배양액 대비 약 10% 이상 향상된 피부 섬유아세포의 회복되었다. 또한 공동배양액 처리를 통해 피부 섬유아세포의 약 30% 이상 향상된 회복 속도를 나타냈다(그림3).
[그림3] 각 배양액의 피부 섬유아세포 회복 효과
또한, 본 발명의 공동배양액의 처리를 통해 피부 각질세포가 중간엽 줄기세포 단독 배양액 및 면역세포단독 배양액 대비 약 10% 이상 향상된 피부 각질세포의 회복되었다. 공동배양액처리를 통해 피부 각질세포의 약 40% 이상 향상된 회복 속도를 나타낸다(그림4).
[그림4] 각 배양액의 피부 각질세포 회복 효과
결과적으로, 섬유아세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상처치유가 진행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공동배양액을 고농도로 함유할수록 높은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겉면인 각질세포에서 피부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뮤니스바이오와 계열회사 스마트셀랩의 공동 개발한 본 특허에 따른 복합 세포배양액은 면역세포 및 줄기세포 배양액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한 새로운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면역세포 배양액의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들이 항노화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며, 면역반응을 조절하여 염증, 항노화 및 미백 효과가 뛰어나며,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여 피부세포성장 및 재생 촉진 효과가 뛰어나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원료이다. 이뮤니스바이오는 이에 대한 13가지 안정성 테스트를 마쳤으며, 주름개선, 항노화, 미백은 물론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가져 더마코스메틱스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허법인 ECM
변리사 최자영
jychoi@ecmpatent.com
02-568-2675
참조
이뮤니스바이오, 복합 세포배양액 화장품원료 출시, The Yakup, 2021년 6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