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의 종이지도에서 벗어나 모바일, 컴퓨터를 통해 각 주소, 거리뷰, 해당 위치의 정보 및 관련 리뷰 등 전자 지도에 대한 서비스가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있다. 특히 거리뷰는 온라인의 특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지점의 주변을 촬영한 사진을 제공하는 기능에 해당한다. 종이 지도와 달리 실제 공간의 사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거리뷰 기능은 기호화된 지도에 현실 세계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하는 반면, 많은 데이터 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구할만한 위치의 정보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 시청역 주변에서 제공되는 거리뷰
네이버는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 거리뷰 요청에 대응하여 인기도가 높거나 부가 정보가 존재하는 선호 거리뷰 정보를 제공한다. 해당 거리뷰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거리뷰 요청을 수신하여,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거리뷰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거리뷰 요청 획득부, 상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 지역을 설정하는 검색 대상 설정부, 상기 검색 대상 지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거리뷰 스팟에 기초하여 선호 거리뷰 정보를 결정하는 선호 거리뷰 결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거리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선호 거리뷰 정보에 대응하는 거리뷰 사진을 제공하는 거리뷰 사진 제공부로 구성된다.

도 2 거리뷰 제공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
도 2는 거리뷰 정보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프로세서(212)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어플리 케이션에 해당한다. 프로세서(212)에 구성된 이 거리뷰 요청 획득부(310), 검색 대상 설정부(320), 선호 거리뷰 결정부(330), 거리뷰 사진 제공부(340) 및 거리뷰 랭킹 제공부(350)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거리뷰 요청 정보를 얻고 검색 대상을 설정 및 선호되는 거리뷰 방향에 대해 사진 및 랭킹을 제공한다.

도 3 종래의 전자 지도 거리뷰 보기 기능
도 3은 예시적인 종래의 거리뷰 보기 기능이다. 전자 지도에는 상단의 거리뷰 사진(m51) 및 하단의 전자 지도(m52)가 표시되며 하단의 전자 지도(m52)에는 거리뷰 플래그(a51)가 표시된다. 거리뷰 플래그(a51)는 거리뷰 가이드 라인(a53) 상의 거리뷰 스팟(b51)들 중 하나의 거리뷰 스팟(b52)에 위치하며 해당 거리뷰 스팟(b52)의 거리뷰 사진이 상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거리뷰 사진(m51)을 좌우로 드래그하여 거리뷰 사진(m51)이 표시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방향이 변경됨 따라 거리뷰 플래그(a51) 및 방향 플래그(a5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해당 거리뷰 사진(m51)에서 사용자는 거리뷰 사진을 보고자 하는 지도 상의 특정 지점으로 거리뷰 플래그(a51)를 이동시키지만, 지도는 실제 세계를 기호화한 것이므로 그 축소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지도상의 좌표에 거리뷰 플래그(a51)를 한번에 위치시키기에 다소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위치 이동 버튼(a54) 및 이동 가이드라인(a55)이 제공되지만 도 2 및 도 4 이후에 제공되는 예시는 사용자의 요구 거리뷰 예측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4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보기 기능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보기 기능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축소된 지도로 인해 사용자가 전자 지도(m72)에서 거리뷰 플래그(a71)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지점 (b71)에 위치시키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해당 거리뷰 요청이 들어오면, 거리뷰 요청 정보 획득부(310)는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거리뷰 요청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검색 대상 설정부(3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전자 지도의 축척에 기초하여 해당 예시에서는 지점(b71)의 근방 100m가 검색 대상 지역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선호 거리뷰 결정부(330)는 검색 대상 지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거리뷰 스팟 및 거리뷰 방향 중에서, 검색 대상 지역의 선호 거리뷰 스팟(b72) 및 방향(b73)을 결정한다. 선호 거리뷰는 일정 기간 동안 타 사용자들의 열람이 가장 많았던 거리뷰 스팟 및 거리뷰 방향 또는 범위 내 광고 계약이 체결된 지점이 선택될 수 있다. 거리뷰 사진 제공부(3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거리뷰 요청에 대응하여 선호 거리뷰 정보에 대응하는 거리뷰 사진(m71)을 제공하며 해당 거리뷰에 부가적인 AR(Augmented Reality) 정보(C71)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서비스의 제공을 통한 사용자층의 확대는 이용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분석 및 로그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해당 로그를 분석함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광고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해당 기술은 거리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면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종래의 종이지도에서 벗어나 모바일, 컴퓨터를 통해 각 주소, 거리뷰, 해당 위치의 정보 및 관련 리뷰 등 전자 지도에 대한 서비스가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있다. 특히 거리뷰는 온라인의 특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지점의 주변을 촬영한 사진을 제공하는 기능에 해당한다. 종이 지도와 달리 실제 공간의 사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거리뷰 기능은 기호화된 지도에 현실 세계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하는 반면, 많은 데이터 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구할만한 위치의 정보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 시청역 주변에서 제공되는 거리뷰
네이버는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 거리뷰 요청에 대응하여 인기도가 높거나 부가 정보가 존재하는 선호 거리뷰 정보를 제공한다. 해당 거리뷰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거리뷰 요청을 수신하여,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거리뷰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거리뷰 요청 획득부, 상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 지역을 설정하는 검색 대상 설정부, 상기 검색 대상 지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거리뷰 스팟에 기초하여 선호 거리뷰 정보를 결정하는 선호 거리뷰 결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거리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선호 거리뷰 정보에 대응하는 거리뷰 사진을 제공하는 거리뷰 사진 제공부로 구성된다.
도 2 거리뷰 제공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
도 2는 거리뷰 정보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프로세서(212)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어플리 케이션에 해당한다. 프로세서(212)에 구성된 이 거리뷰 요청 획득부(310), 검색 대상 설정부(320), 선호 거리뷰 결정부(330), 거리뷰 사진 제공부(340) 및 거리뷰 랭킹 제공부(350)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거리뷰 요청 정보를 얻고 검색 대상을 설정 및 선호되는 거리뷰 방향에 대해 사진 및 랭킹을 제공한다.
도 3 종래의 전자 지도 거리뷰 보기 기능
도 3은 예시적인 종래의 거리뷰 보기 기능이다. 전자 지도에는 상단의 거리뷰 사진(m51) 및 하단의 전자 지도(m52)가 표시되며 하단의 전자 지도(m52)에는 거리뷰 플래그(a51)가 표시된다. 거리뷰 플래그(a51)는 거리뷰 가이드 라인(a53) 상의 거리뷰 스팟(b51)들 중 하나의 거리뷰 스팟(b52)에 위치하며 해당 거리뷰 스팟(b52)의 거리뷰 사진이 상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거리뷰 사진(m51)을 좌우로 드래그하여 거리뷰 사진(m51)이 표시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방향이 변경됨 따라 거리뷰 플래그(a51) 및 방향 플래그(a5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해당 거리뷰 사진(m51)에서 사용자는 거리뷰 사진을 보고자 하는 지도 상의 특정 지점으로 거리뷰 플래그(a51)를 이동시키지만, 지도는 실제 세계를 기호화한 것이므로 그 축소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지도상의 좌표에 거리뷰 플래그(a51)를 한번에 위치시키기에 다소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위치 이동 버튼(a54) 및 이동 가이드라인(a55)이 제공되지만 도 2 및 도 4 이후에 제공되는 예시는 사용자의 요구 거리뷰 예측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4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보기 기능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보기 기능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축소된 지도로 인해 사용자가 전자 지도(m72)에서 거리뷰 플래그(a71)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지점 (b71)에 위치시키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해당 거리뷰 요청이 들어오면, 거리뷰 요청 정보 획득부(310)는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거리뷰 요청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검색 대상 설정부(3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전자 지도의 축척에 기초하여 해당 예시에서는 지점(b71)의 근방 100m가 검색 대상 지역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선호 거리뷰 결정부(330)는 검색 대상 지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거리뷰 스팟 및 거리뷰 방향 중에서, 검색 대상 지역의 선호 거리뷰 스팟(b72) 및 방향(b73)을 결정한다. 선호 거리뷰는 일정 기간 동안 타 사용자들의 열람이 가장 많았던 거리뷰 스팟 및 거리뷰 방향 또는 범위 내 광고 계약이 체결된 지점이 선택될 수 있다. 거리뷰 사진 제공부(3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거리뷰 요청에 대응하여 선호 거리뷰 정보에 대응하는 거리뷰 사진(m71)을 제공하며 해당 거리뷰에 부가적인 AR(Augmented Reality) 정보(C71)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서비스의 제공을 통한 사용자층의 확대는 이용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분석 및 로그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해당 로그를 분석함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광고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해당 기술은 거리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면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