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환자들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줄 카카오톡 내 전자처방전 발급 서비스

출원번호10-2019-0065066
출원일자2019.06.03
출원인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공개/등록번호(일자)10-2020-0139277 (2020.12.14)
발명의 명칭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병원 앱으로 수신되던 전자처방전은 카카오톡의 인기에 힘입어 카카오톡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으로 진화하였다. 본 서비스는 국내에서 높은 이용률을 자랑하는 카카오톡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병원에 진료를 예약하면 환자가 보유한 카카오톡에 번호가 알림 메시지로 뜬다. 또한 카카오톡을 통해 진료비 결제, 결제내역 확인 및 전자처방전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림 1). 전자처방전의 경우는 QR코드로 전송을 받고, 환자가 원하는 약국을 지정하면 해당 약국으로 환자의 처방전을 전송한다. 기존의 방식은 대형병원에서 제공하는 병원 앱을 설치해야만 병원이 제공하는 처방전을 약국에 전송할 수 있었다. 병원에서 제공하는 앱도 상당히 편리한 방법이다. 하지만 고령 환자의 경우 앱을 새로 설치해야만 하고, 앱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야만 한다. 카카오톡 앱을 설치한 사용자는 수수료 등의 추가적인 과금 없이 병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특허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다. 


그림 1. 카카오톡 기반 병원 서비스 예시


그림 2는 종래 수진 환자에 대한 종이 처방전 발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수진 환자에 대한 종이 처방전 발급 시스템 (100)은 먼저 병원/의원의 의사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 (105)를 이용하여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110)에 접속하여 원외 처방전 작성을 위해 의약품 안전 점검을 실시한다 (①). 다음으로 병원/의원의 의사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 (105)를 이용하여 (이때의 사용자 단말기 (105)는 프린터까지 포함하는 개념임) 종이 처방전을 발급한다 (②). 환자 (또는 보호자)는 그 종이 처방전을 소지한 채 약국을 방문하여 약사에게 종이 처방전을 제시한다 (③). 약사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종이 처방전에 인쇄되어 있는 QR 코드를 스캔 한 후, 처방약을 조제한다 (④). 약국에서는 종이 처방전을 최소 3년간 보관한 후 폐기한다 (⑤). 


그림 2. 기존의 종이 처방전 발급 시스템


그림 3 및 4는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병원 (의원)의 의사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 (205)를 이용하여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에 접속하여 원외 처방전 작성을 위해 의약품 안전 점검을 실시한 후, 해당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발급하여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로 전송한다 (단계 (S301), 그림 4의 ①, ②).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는 병원 (의원)의 의사가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DB에 보관하고,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메신저 인증 서버 (220)로 전송한다 (단계 (S302), 그림 4의 ③). 메신저 인증 서버 (220)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로부터 전송된 환자가 수신할 정보를 수신하고, 전문접수번호 (tx-id)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로 전송한다 (단계 (S303)). 메신저 인증 서버 (220)는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23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 (230)는 전자처방전 도착 메시지를 확인한 후 전자서명을 수행한다 (단계 (S304), 그림 4의 ④, ⑤). 메신저 인증 서버 (220)는 사용자 단말기 (230)로부터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후, 1회용 접속 보안 토큰 (OTT)을 발급하여 전문접수번호 (tx-id)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 (230)로 전송한다 (단계 (S305), 그림 4의 ⑥). 사용자 단말기 (230)는 메신저 인증 서버 (220)로부터의 OTT 및 전문접수번호 (tx-id)를 수신하여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의 모바일 웹서버 (210w)에 제출한다 (단계 (S306), 그림 4의 6-2).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는 사용자 단말기 (230)로부터의 OTT 및 전문접수번호 (tx-id)를 수신하여 메신저 인증 서버 (220)로 OTT 검증을 요청한다 (단계 (S307), 그림 4의 ⑦). 메신저 인증 서버 (220)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로부터의 OTT 검증 요청에 따라 OTT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로 전송한다 (단계 (S308), 그림 4의 ⑧).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서버 (210)는 OTT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OTT가 일치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 (230)의 모바일 웹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 단말기 (230)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309), 그림 4의 ⑨). 



그림 3. 전자처방전 발급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림 4.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

카카오톡을 이용한 병원 서비스는 높은 이용률과 더불어 수수료 등과 같은 별도의 과금이 없으므로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아직은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들의 반응을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환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카카오톡 내 병원 서비스를 고도화시킨다면 시장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본다.






특허법인ECM

변리사 김시우

swkim@ecmpatent.com

02-568-2670

 

0

ECM IP&LAW FIRM

3F, 13, Teheran-ro 70-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